728x90
반응형
중국은 왜 번체를 버리고, 간체를 택했나?
https://www.youtube.com/watch?v=I7quleZ5s44
중국의 사랑에는 마음이 없습니다.
‘사랑’을 뜻하는 글자 ‘愛’에서 마음 ‘心’이 빠진 간체 ‘爱’.
듣는다는 글자 ‘聽’에서도 귀와 마음은 사라지고, 입만 남았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걸까요?
중국은 왜 갑자기 글자를 바꿨을까요?
그건 단순한 문맹 퇴치가 아니라,
사람을 바꾸려는 문화 혁명이었습니다.
1956년 간체 도입.
1966년 문화대혁명.
전통을 버리고 새 질서를 심기 위한 정치적 기획.
그리고 뜻밖에도, 그 글자들이 오늘날
AI 시대의 무기가 되었습니다.
중국은 왜 번체를 버리고 간체를 선택했을까요?
한 나라가 글자를 바꾼다는 건,
그저 글자만 바뀌는 일이 아닙니다.
+
간체가 생기기 전에 번체라는 말은 없었음.
번체, 즉 번거로운 체 혹은 복잡한 체. 전통적인 글자 한자를 복잡하고 낡았다고 인식하게 만들려고 붙인 이름임.
728x90
반응형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장이 뚫려 천국이 보이는 착시효과 천장화 '산티냐시오의 승리' (안드레아 포초) (0) | 2025.05.01 |
---|---|
"유심만 바꾼다고 끝?" 스마트폰 해킹에 완벽 대처하는 법+ (0) | 2025.04.30 |
[종교] 무속(x) 무교(o), 무속은 일제강점기 때 폄하하기 위해 만든 말 (0) | 2025.04.29 |
이거 모르면 평생 시간에 쫓기며 살게 됨 (+터널링 현상) (0) | 2025.04.28 |
[과학] “남성 호르몬이 묻으면 노화된다?”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