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저출산3 [기사] 페미니즘의 확산은 출산율을 높일까? 낮출까? " 우리는 살기 좋은 세상을 유지하며 출산율을 높이길 원하지, 부모가 감당할 수 없는 출산을 강제하거나 여성이 출산밖에 할 수 없는 사회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 기사 본문 中진보당과 여성시민단체 회원들이 2023년 3월 8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115주년 3·8 세계여성의날 기념 기자회견을 마치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photo 뉴시스최근 필자가 서울에서 열린 저출산과 인구위기 관련 한 포럼에서 본 일이다. 이름난 학자가 인구위기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해 기조강연을 하고 청중 질문을 받는데, 어느 나이 지긋하신 분이 (아마 관련 분야 학자인 듯하다) 흥미로운 의견을 내놓았다.최근 여성들 사이에 페미니즘(여성주의)이 널리 퍼져 결혼과 출산의 비용이 크다고 인식하는 것이 저출산 문제의 원인이.. 2025. 7. 9. 저출산은 정말 안 좋은 걸까? 저출산은 혁명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4pfevAeUpJA사람들의 강렬한 '환상'과 '욕망'이 이 시대의 저출산 현상과 깊이 연관된 게 아닐까?부유층의 이미지를 파는 것이 이 시대의 대표적인 산업 중 하나이다.부자가 되는 건 어렵지만 부유층의 이미지를 사고 나도 이 정도면 어느 정도 잘 사는 것 같다고 느낌을 받고 살아가기 쉬운 사회가 되었다.미국 기준 한 세대 이전보다 지금이 전반적으로 계층 이동이 더 줄어들었다.하지만 자수성가한 부자는 과거보다 많이 늘어났고, 우리는 미디어에 나오는 유명한 최고 갑부들의 사례를 통해 부자가 되는 희망을 느끼게 되지만 실제 평균치로는 오히려 계층 이동이 어려워진 상황이다.이런 상황 속에 자기 자신을 꾸미는 것에 관심을 갖고 남들에게 뽐내는 데에도 관.. 2025. 6. 19. [기사] "아이는 기후위기 희생양 될 것" 아이 낳지 않겠다는 여성들 [기후위기와 출산파업①] 결혼했지만 '비출산' 선택한 5인의 고민과 이유기후위기 시대, 우리는 아이를 낳을 수 있을까? 오마이뉴스가 아이를 낳지 않기로 결정한 다섯 부부를 만났다. "막상 내가 내 자식을 가진다면 정말 좋아서 미쳐버릴지도 모른다! 아이가 태어났는데 내 몸에서 내가 낳았고 남편이랑 나를 닮았다면 어떨까?"송도영(30)씨는 2022년 12월 결혼하고 부산에서 살고 있다. 10년 전 남편을 대학 내 메탈밴드 동아리에서 만난 그는 여전히 남편과 메탈 음악을 즐겨듣는다. '아이가 있으면 어떨 것 같은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그는 웃으면서 "사실 가끔 태교음악으로 메탈을 들려줘서 메탈 영재 어린이로 키우는 상상도 해본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감성적으로는, 낳고 싶다. 그런데 이성적으.. 2025. 2. 1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