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트럼프2 [경제] 자본주의의 한계 (2013년, 2019년, 2023년 글) 엔론 사태로 본 미국 자본주의의 허실클린턴 행정부 때 상무부 차관을 지낸 제프리 가튼 예일대 경영대학장은 최근 9·11테러 이후 세계경제의 패러다임이 '신경제'에서 '포위경제'로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래 가장 폐쇄적인 경제체제"인 포위경제의 핵심은 미국 대외경제정책의 '정치화'와 외교정책의 '재군사화'를 특징으로 한다고 한다.필자는 포위경제라는 신조어가 신경제와 마찬가지로,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고 현재의 실상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매우 부정확한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9·11테러 이후 미국 경제의 '준 전시자본주의화' 속에 지난 20년 동안 다그쳐져 온 자본의 세계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고 보는 게 정확하다. 근거는 이렇다.먼저 클린턴 정권과 부시 정권의 외교정책에 큰 차이가.. 2025. 4. 22. 한국에서는 호감도 1위라는 트럼프 대통령 (오블완 챌린지 1회차)(시작합니다) 미국 대선이 끝났네요.트럼프가 한국에서 호감이라길래엥???하고 봤더니납득 완...웃프네요. 2024. 11. 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