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과 그의 자전적 기록의 진실성 문제[송평인의 시사서평]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자전적 기록으로는 2017년 대선을 앞두고 나온 ‘이재명의 굽은 팔’이 있다. 저자가 따로 있기는 하지만 자전적 기록으로 볼 수 있게 쓰여져 있다…
www.donga.com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자전적 기록으로는 2017년 대선을 앞두고 나온 ‘이재명의 굽은 팔’이 있다. 저자가 따로 있기는 하지만 자전적 기록으로 볼 수 있게 쓰여져 있다. 2022년 대선을 앞두고는 이 후보의 이름이 저자로 들어간 ‘이재명의 나의 소년공 다이어리’가 나왔고 또 이 후보 본인의 이름으로 쓴 웹자서전이 인터넷에 게시됐다.
‘이재명의 굽은 팔’에는 이 후보의 아버지가 대구에서 청구대를 중퇴한 후 태백으로 가서 탄광 관리자 노릇도 하고 잠시 교사도 했다고 돼 있다. 이 후보의 웹자서전에는 한가지가 더 추가돼 순경까지 했다고 돼 있다.
청구대는 나중에 영남대로 통합된 대학이다. 이 대학에 야간 과정이 있었다. 이 후보는 아버지가 중퇴이긴 하지만 고학으로 대학 공부를 했던 사람이라고 했다. 고학으로 다닌다면 야간에 다녔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중퇴다. 그걸 고려하지 않으면 ‘대학 공부를 했던 사람’이란 표현이 과도한 의미로 받아들여져 이 후보 아버지의 삶이 이해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 후보는 대선을 앞두고 지난달 강원특별자치도공약을 발표하면서 “돌아가신 제 아버지도 광산 노동자셨다”고 했다. 탄광 관리자도 탄광주가 아닌 이상 엄밀히 따지면 노동자이지만 광산 노동자라고 하면 광부를 떠올릴 수밖에 없다. 이제 탄광 관리자였다는 건지 광부였다는 건지도 헷갈리게 됐다.

이재명 성남시장이 서울 서대문구 환경재단 레이첼 카슨홀에서 열린 ‘’이재명의 굽은 팔‘’ 출판 기념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당시는 다 연탄을 때던 시절이고 탄광 산업은 돈이 되는 몇 안 되는 산업 중 하나였다. 광부가 아니라 탄광 관리자였다면 갱 속에서 맞을 수도 있는 죽음의 위험도 피할 수 있었으니 괜찮은 자리였을 것이다. 다만 탄광 관리자를 했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교사도 되고 순경도 될 수 있었는지는 짐작하기조차 어렵다.
● 이재명 소년공 삶을 결정한 건 가난보다 아버지
아무튼 이 후보의 아버지는 탄광 관리자도 교사도 순경도 다 포기하고 안동의 산골 고향 마을로 돌아갔다. 이 후보는 웹자서전에서 아버지는 농사일도 할 줄 몰랐고 고향에 땅이라고는 조금만 밭떼기뿐이었지만 효자였기 때문에 부모를 모시려고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썼다. 이미 결혼하고 자식이 딸려있는 상황에서 먹고살 길이 불투명한데도 고향에 돌아간 이유가 그저 효자였기 때문이라는 설명은 아무래도 설득력있게 와닿지 않는다.
이 후보의 아버지가 고향에 돌아온 결과가 파국으로 끝났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이 후보의 아버지는 농사일이라는 본업보다는 마을 사람들의 호적 신고 대행이나 작명(作名) 등 돈이 안 되는 일을 주로 하다가 ‘도리짓고땡’이라는 도박에 빠져 조금만 밭떼기마저 날려버리고 고향을 떠났다. 이 후보의 아버지가 이후 성남으로 이주해 한 일은 상대원 시장의 청소부였다. 탄광 관리자와 교사·순경직까지 했던 사람의 귀결로는 크게 동떨어져 있다.
당시는 국민 대부분이 먹고살기 힘든 시절이었다. 그래서 자식 중 한 둘은 공부를 시키고 나머지는 공장에 보내는 방향으로 집안의 포트폴리오를 짜는 집이 많았다. 이 후보의 아버지는 자식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초등학교까지는 의무교육이다) 기다렸다는 듯이 모조리 돈벌이로 내몰았다는 점에 특이했다. 태백에서의 아버지, 고향에서의 아버지, 성남에서의 아버지가 다 달라 과연 한 사람 이야기인가 싶을 정도다.
이 후보의 가족은 전 구성원이 다 돈벌이에 나선 덕분인지 집 장만이 빨랐다. 이 후보가 소년 시절부터 노동에 내몰린 것은 집안의 가난 그 자체 때문이라기보다는 태백에서 좋은 자리 다 버리고 고향으로 가 한량 노릇을 하다가 성남으로 이주해서는 돌연 돈벌이에 집착해 전 가족 구성원을 돈벌이에 내몬 특이한 아버지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가난과도 소년공과도 상관없이 스스로 만든 성정
이 후보의 웹자서전에는 그가 고향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던 시절 “(학교에서) 봄가을이면 논밭에서 벼나 보리 이삭을 한 되씩 주워오라 했다. 아무리 주워도 쭉정이 한홉 채우기조차 버거웠다. 아이들은 집에서 한 됫박씩 (쌀을) 퍼오곤 했는데 나는 몸으로 때웠다”는 대목이 나온다.
나도 지금은 대구로 편입된 경북 경산군 반야월이란 곳에서 초등학교를 다닐 때 학교에서 봄과 가을에 1주일씩 방학을 주고 벼나 보리 이삭을 주워오도록 한 똑같은 경험을 했다. 쌀 생산량을 늘리는 게 중요하던 시절이라 이삭 하나라도 허투루 버리지 않으려고 아이들을 동원한 것이다. 아침부터 논밭으로 나가 타작하는 곳 근처에서 이삭을 주웠다. 학교에서 할당한 양을 채우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었지만 그래도 열심히 주으면 이삭으로 한 가마니 가까이 채울 수 있었다(그것을 타작을 하면 얼마나 됐는지는 모르겠다). 친구들과 산으로 들로 어울려 다니며 노는 시간이기도 했다. 물론 많이 줍지 못한 때도 있었고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야단 맞을 각오를 해야 했지만 그렇다고 집에서 쌀을 퍼갈 정도로 압박을 받은 적은 없었다.
이 후보는 반응이 특별한 아이였던 모양이다. 그는 학교의 요구나 지시를 상습적으로 어기는 학생이라고 스스로 말하고 있다. 어린 시절 ‘덤비는 성질’로 성적표 행동란에 기록된 것을 자랑처럼 얘기한다. 그 ‘덤비는 성질’은 나중에 소년공이 된 이재명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그 또래의 남들과 똑같이 초등학생을 다닐 때부터 있던 것이니 본래 성정(性情)이 그러했다는 것이다.
● 금방 들통날 지어낸 이야기들
‘이 후보의 굽은 팔’에서는 이 후보가 대학 시절 감명 깊게 읽은 책 중 하나로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을 꼽는 대목이 있다. “대학 2학년 때였을 게다. 아니다. 대학 3학년 때였을 게다. 아니다. 대학 4학년 때였을 게다. ‘태백산맥’은 그렇게 해를 거듭하며 출판됐다. 새로 찍혀 나올 때마다 나는 ’태백산맥‘을 품었다. 그때마다 내 가슴에서 산맥 하나가 불쑥불쑥 자라났다. 광주 항쟁과 더불어 태백산맥은 내 삶을 바꾸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 후보는 82학번이고 나는 83학번이다.’태백산맥‘이 이 후보가 대학 2학년 때 처음 나왔으면 내가 대학 1학년 때일텐데 그런 기억이 없다. 나는 그 소설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관심을 갖고 보긴 했다. ’태백산맥‘이 잡지에 연재된 것은 1983년부터이긴 하지만 책으로 엮여 나온 것은 1986년부터다. 이 후보가 대학생일 때는 그 책이 나오지도 않았다.
이 후보는 대학 시절 읽은 태백산맥이 자신의 삶을 바꿨다는 얘기를 지어 내서라도 ‘의식’ 있는 사람처럼 보이려 하지만 그에게 시대에 대한 고민은 현실적 이익보다 후순위였다. 당시 대학생들은 운동권이든 아니든 자기만 잘 먹고 잘 살자고 공부하는 게 옳으냐는 문제로 고민했다. 이 후보처럼 일단 사시에 합격하고 그 후에 공익을 위한 삶을 살겠다는, 어찌 보면 단순한 해답을 오히려 부끄럽게 여기던 이상한 시절이었다. 법대생이 대학에서 사시 준비를 하는 건 부끄러워 할 일이 아니고 어렵게 자란 만큼 안정적인 생활기반부터 확보하려고 한 태도 역시 이해하고도 남는다. 다만 그는 다른 소년공들과는 달리 대학을 다니게 돼 스스로에 대한 깊은 윤리적 성찰을 해볼 기회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회를 잡지 못한 듯하다. 이후 공인으로서의 그의 삶이 어떠했는지는 우리가 익히 아는 바와 같고 그에 대한 판단은 각자 알아서 할 일이다.
이 사건을 알아야 진짜 이재명을 알 수 있다
이재명의 첫번째 전과에 관하여
<검사 사칭 사건>
https://youtu.be/s6871FMPeAc?si=q73Y-oTstcJ9TT37
소시오패스 특
거짓말을 밥먹듯이하고 죄책감 없음
https://www.youtube.com/watch?v=55i7_XH1bQU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이 지워버린 사람 (0) | 2025.05.21 |
---|---|
[기사] 전 세계 37개국 중 부유한 상위 10%의 개인 탄소 배출량, 한국 2위 (0) | 2025.05.20 |
SPC삼립 시흥 제빵공장서 노동자 끼임 사망…2022년 이후 3번째 (0) | 2025.05.19 |
5.18 당시 군인아저씨 보고 반가워서 손 흔들었다가 사망한 초등학생 (0) | 2025.05.19 |
일베 폐쇄와 커뮤니티 규제 대책 마련 촉구 10만 서명운동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