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부처님오신날, 사찰에 가면 공양간에서 왜 밥을 그냥 줄까? 절 밥은 절대 공짜 밥이 아니다

by Asa_v 2025. 5. 4.
728x90
반응형

사찰 공양에 대해

부처님 오신 날, 가장 바쁜 공간인 '공양간'

밥을 짓는 주방으로, 음식 하나 하나가 정성과 수행의 결과물이다.

사찰의 봉사자들은 새벽부터 나와 수천 명의 밥을 짓는다.

그리고 그 밥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

밥을 먹으러 온 손님들은 모두 부처님과의 인연으로 온 귀한 손님이다.

공양은 부처님께 바치는 것이고 동시에 서로에게 나누는 행위이다.

과거에는 절로 가는 길이 힘들어 그 자체가 수행이었다.

주는 사람 받는 사람을 구분하지 않는다

'받는 사람'도 하나의 수행자이며 '주는 사람'도 자비의 실천자이다.

밥은 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나누는 것이다.

불교의 가장 기본 가르침 "자비(慈사랑할 자 悲슬플 비)"

모든 중생은 고통 받고 있으며 그 고통을 함께 덜어주는 것이 수행이다.

사람들은 그 따뜻한 밥 한 끼로 위로를 받고 주는 사람도 덕분에 마음이 밝아진다.

이게 바로 '무소유의 풍요'이다.

 

주의할 점 - 절에서 먹는 공양은 조용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먹어야 한다.

'나눔' '동행' '공존' 불교의 철학이 담긴 밥이다.
그러니 그것은 '공짜 밥'이 아니라 '자비의 선물'을 받은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z1Yme7JcFN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