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신경세포2 [건강] 수면내시경은 '수면'이 아니다. 단지 기억하지 못할 뿐 건강검진 선택사항 중의 하나인 수면내시경엔 '불편한 진실'이 담겨 있다.환자들은 '수면내시경은 잠든 상태에서 받는 검사입니까?라고 자주 묻는데 의료진은 '아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수면내시경은 내시경을 목구멍이나 항문에 삽입할 때 환자의 고통, 두려움, 검사 때의 불쾌한 기억을 없애기 위해 개발됐다.수면내시경의 원래 용어는 '의식이 있는 진정 내시경(conscious sedation endoscope)'이다.다시 말해 의식이 전혀 없는 마취상태가 아닌, 의식이 있되 마음을 진정시킨 상태에서 내시경을 한다는 말이다.수면 내시경이 일반 내시경과 다른 점은 '프로포폴'이나 '미다졸람' 같은 수면유도제를 주사해 환자를 진정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약물의 특정 성분으로 인해 내시경 당시의 기억을 잃어버리므로 환자.. 2025. 5. 4. 손상된 시력까지 회복할 수 있을까 [지금은 과학] 손상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실마리→2028년 임상 목표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가 잡혔다. 전 세계적으로 3억명 이상의 인구가 다양한 망막질환으로 시력 상실의 위험에 놓여 있다 [사진=아이뉴스24DB][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이미 손상된 시력까지 회복할 수 있는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가 잡혔다. 동물 실험에서 효과를 입증했고 2028년쯤 임상 실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시각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감각이다. 전 세계적으로 3억명 이상의 인구가 다양한 망막질환으로 시력 상실의 위험에 놓여 있다. 최근 망막질환 치료제들이 개발돼 병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이미 손상된 시력 회복까지 가능하게 하는 실효적 치료제의 개발은 없는 상황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 2025. 3. 3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