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유산균2

장 건강이 스트레스와 우울에서 벗어나게 한다 (장과 뇌 상관관계) 정신 증상까지 개선하는 장내미생물최근 야간에 우울감이 생기고 수면이 나빠졌다. 의료계의 여러 상황 때문인데 처음에는 스트레스와 분노에서 시작해 무기력감을 거쳐 우울감으로 바뀌었다. 그렇다고 바로 우울증 약을 먹거나 상담받기는 애매하다. 그렇게 심한 병적 우울은 아니기 때문이다. 지난 칼럼들에서 뇌와 장 그리고 장내미생물이 서로 연결돼 상호작용하는 것을 설명했다.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90 [김용성 칼럼] 뇌는 어떻게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미치는가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지난 칼럼에서 스트레스가 위장관의 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더하여 위장관 내에 살고 있는 장내미생물까지 영향을 줄 수 .. 2024. 10. 8.
유산균 꼭 살아서 장까지 갈 필요 없다! (건강 정보) https://contents.premium.naver.com/jiphyunnet/knowledge/contents/240311204057229bg 유산균, 꼭 살아서 장까지 갈 필요 없다!살아서 장에 정착하지 않는 유산균, 파라바이오틱스 글 윤상선 연세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바이오미 대표 그림 신인철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 기획 사단법인 집현네트워크 과식, 급한contents.premium.naver.com섭취한 유산균, 90%가 죽는다? 근데 괜찮다?대부분 소비자는 유산균이 살아있는 균(생균) 상태로 장에 잘 젙착해야만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하지만 발상을 바꿔 질문해볼 수 있다. 미생물이 꼭 살아있는 생균이어야만 효과가 있을까?만약 제품 속 균이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습도의 변화나 섭취 .. 2024. 7. 30.
728x90
반응형